베스트 카지노

본문 바로가기

디지털만화5

인도의 만화산업 2020년 인도 만화 시장은 전년 대비 17.2% 증가한 4,90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됩니다. 향후에도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성장률은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의 시장 성장 동력으로는 전자만화 시장의 대두가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오늘은 인도의 만화산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6년 6.5%에 불과했던 인도 디지털 만화 시장 규모는 2020년 10%p 이상 성장하였습니다. 인도 만화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6.52% 성장하여 2025년까지 6,7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시장 특성 시장 구조 1960년대까지 서구에서 수입된 만화책이 인도 만화 시장을 지배하고 있었으나, 1960년대 중반 《The Times of Ind.. 2022. 11. 24.
코로나19 유행 이후 만화 콘텐츠의 이용 코로나19 유행 이후 만화 이용 변화 가.만화 이용 시간 증감 디지털만화 이용자의 디지털만화 이용 시간은 감소(8.9%) 대비 증가 (37.4%) 비율이 높았습니다. 종이만화 이용자의 종이만화 이용 비율은 감소(25.0%)와 증가 (23.9%)가 비슷한 수준입니다. 디지털만화 이용자들의 디지털만화 이용 시간이 증가한 경우는 남성 (36.3%) 대비 여성(38.6%)에서, 연령별로는 10~14세(51.8%)와 15~19세(50.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종이만화 이용자들의 종이만화 이용시간이 감소한 경우는 연령별로 20~24세(32.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나. 만화 이용 시간 감소 이유 만화 이용 시간이 감소한 주된 이유는 ‘다른 콘텐츠(유튜브, 드라마, 게임, 음악 등)의.. 2021. 6. 30.
디지털만화 VS 종이만화 당신의 선택은? 2019 만화 이용자 동향(1) 네모칸 속 만화에 울고 웃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신문 속 연재 만화에서 이제는 VR 실감콘텐츠로 거듭난 웹툰까지. 우리 만화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의 궤를 함께하고 있는데요. 최근 국내 웹툰 시장의 규모는 1조원을 돌파하며(2019년 기준 업계 추정치) 대한민국의 콘텐츠 산업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만화(웹툰, 스캔만화 등) 및 종이(출판) 만화에 대한 이용 행태는 어떨까요? 각 매체벌 만화 이용 여부와 만화 이용 빈도 및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이용 수준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일주일에 1~2회 가량 만화를 보는 사람들 최근 1년 만화 이용 빈도는 ‘일주일에 1~2번’이 19.6%로 가장 높았는데요. 만화 이용 빈도는 `일주일에 1~2번'이 19.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거의 매일(18.. 2020. 2. 25.
창작의 영역을 엿보는 독자들, ‘보는’ 만화에서 ‘직접 만드는’ 만화로 글|김지혜 (에이코믹스 기자) 만화 독자들이 달라지고 있다. 오프라인 만화 잡지가 대세였던 시절, 기껏해야 ‘독자 엽서’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그들은 디지털만화 시대의 개막과 함께 제2의 창작자로 신분이 상승하고 있다. 작가 주도의 ‘독자 참여형 웹툰’부터 아예 독자 자신이 스토리를 만드는 ‘인터랙툰’까지, 창작의 영역을 엿보기 시작한 독자들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본다. 웹툰이 등장한 지 어느덧 10년이 훌쩍 넘어가고 있다. 인쇄출판 시장의 쇠락과 대여점의 창궐로 몸살을 앓던 만화계는 웹툰이라는 지각변동을 겪고 극적인 환골탈태에 성공했다. 2015년에는 웹툰 시장 규모가 3천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웹툰이 소설, 드라마, 영화 등 거의 모든 미디어 콘텐츠의 텃밭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 2014. 12. 23.
한국형 세계만화의 새로운 이름 ‘K-Comics’ 한국형 세계만화의 새로운 이름 ‘K-Comics’ 박 석 환 (만화평론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전략기획팀장) ‘한국형 세계만화론’의 등장 배경 지난해 6월 국회에서는 ‘한국형 디지털만화의 글로벌 유통 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만화가 이현세(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는 한국만화의 3대 트랜드를 ‘만화원작산업 활성, 교양학습만화시장 확대, 디지털만화와 웹툰 붐’으로 정리하고 이들이 모두 해외 시장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해외 만화계가 ‘자국의 문화적 특수성과 경쟁력을 중심으로 세계 시장을 점령’한 것처럼 ‘한국의 만화 역시 우리만의 특수성을 재정비해서 한국형 세계만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는 대학교육과 새로운 창작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예비만화가들이 한.. 2012. 5. 31.